Ambiguity effect 모호성 오류

Last updated on

인간은 모호함을 싫어하기 때문에, 더 나은 선택을 포기하기도 한다.

정보 부족이 원인이다.
뭔가 불확실하고 모호한 상황이라면 좀 더 확실하고 명확한 선택을 더 선호하게 된다.

대출 받을 때 변동금리와 고정금리가 있다면 어떤 선택을 할까?
사람들은 모호한 변동금리보다는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.
변동금리형 대출이 통계적으로 돈을 절약하는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그렇다

변동성이 큰 주식이나 펀드 투자를 선호할까? 국채나 은행 예금과 같은 “안전한” 투자를 선호할까?
많은 사람들은 안전한 투자를 더 선호한다. 주식 시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훨씬 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할 확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는 수익률을 알 수 없는 주식 시장보다는 수익률이 “안전한” 투자를 선호한다는 것이다. 

대학 입학 원서 쓸 때를 생각해보자.
A 대학은 평소 원했던 대학이지만 성적이 애매하고 합격이 불투명하다. B 대학은 딱히 원하던 대학은 아니지만 그럭저럭 괜찮은 대학이고 합격은 안정권이라고 해보자. 내가 B 대학에 가서 만족할 확률도 사실 불확실 하지만, 당장 합격이라는 측면만 보면 B 대학은 안전한 선택이다. 당신은 어느 대학을 선택할까?

사람이 가진 성향으로 치부해야 할까? 더 나은 선택일 수 도 있지만 가능성이 희박하다면 그건 도박인가? 확실성을 더해주는 정보를 확충하고 가능성을 높이는 작업을 더한다면 확률은 높아진다. 100% 확실한 것은 없다. 삶은 도전의 연속이다.

참고 1 2 3

References
  1. 버라이어티삶. 모호성 오류 (ambiguity effect). 2021. (Accessed Oct 04, 2024, at https://brunch.co.kr/@suhwankim/139) ↩︎
  2. 곤이. 모호성 오류(Ambiguity effect)의 뜻과 예시. 2021. (Accessed Oct 04, 2024, at https://happy-goeun2.tistory.com/19) ↩︎
  3. 이남석. 인지편향 사전: 누구나 빠지는 생각의 함정. 옥당북스. 2021:01:028. ↩︎